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inary Search
- 코딩테스트
- Stack
- 자바
- sorting
- implement
- 파이썬
- java
- greedy
- Matrix
- bit manipulation
- geometry
- Counting
- database
- hash table
- Math
- dynamic programming
- Class
- Binary Tree
- array
- two pointers
- SQL
- Data Structure
- simulation
- 구현
- 코테
- Number Theory
- string
- Method
- Tree
- Today
- Total
목록simulation (62)
코린이의 소소한 공부노트
1. Input 1) int 변수 n 2) n은 아이언 슈트 구매자가 이동하려는 거리 2. Output 1) 사용해야 하는 건전지의 최솟값을 담은 int 변수 2) 한 번에 k칸 앞으로 점프하면 건전지를 k만큼 사용한다. 3) (현재까지 온 거리 * 2)에 해당하는 위치로 순간이동 할 때는 건전지가 소모되지 않는다. 3. Constraint 1) n: 1 이상 10억 이하의 자연수 2) k: 1 이상의 자연수 4. Example Input: n=5 -> Output: 2 설명: 거리가 5만큼 떨어진 곳으로 갈 때 1) 처음 위치 0에서 5칸을 앞으로 점프하면 바로 도착하지만, 건전지 사용량이 5만큼 든다. 2) 처음 위치 0에서 2칸을 앞으로 점프한 다음 순간이동 하면 (현재까지 온 거리: 2)*2에 해..
1. Input 1) 정수 n 2. Output 1) 다음 규칙에 맞게 만들어진 문자열 배열 규칙1. i-1번째 배열에는 i에 대한 문자열 치환 결과가 들어간다. (i는 자연수) 규칙2. i에 대한 문자열 치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i가 3의 배수라면 “Fizz” - i가 5의 배수라면 “Buzz” - i가 3과 5의 배수라면 “FizzBuzz” - i가 3과 5의 배수가 아니라면 i를 문자열로 치환 3. Constraint 1) 1
1. Input 1) 자연수 num 2) 콜라츠 추측의 계산 규칙 - 1단계: 숫자가 짝수라면 2로 나누고,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한다. - 2단계: 1이 될 때까지 1단계를 반복한다. 2. Output 1) num을 규칙에 따라 계산했을 때 1이 될 때까지 계산한 횟수 2) 500번을 반복해도 1이 되지 않으면 –1 반환 3. Constraint 1) num은 1 이상 8,000,000 미만인 정수 4. Example Input: num=6 -> Output: 8 설명: 6 -> 3 -> 10 -> 5 -> 16 -> 8 -> 4 -> 2 -> 1 5. Code 1) 첫 코드(2022/??) int count = 0; long n = num; // 계산과정에서 overflow가 일어나는 것을 방..
1. Input 1)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2)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 3) 왼손, 오른손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 입력 4) 키패드의 모양 1 2 3 4 5 6 7 8 9 * 0 # 5) 왼손 엄지는 *에서, 오른손 엄지는 #에서 시작 2. Output 1)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2) 엄지손가락 사용 규칙 -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한다. -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다. -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다. - 가운데..
1. Input 1)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2)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 2. Output 1)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담은 배열 3. Constraint 1) lottos, win_nums는 길이가 6인 int 배열 2)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 3)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 4)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 5) lottos에 중복 숫자는 0뿐이다. 6) win_nums에 중복되는 숫자는 없다. 7) lottos,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4. Example Input: lottos={44, 1, 0, 0, 31, 25}, win_nums={3..
1. Input 1) 문자열 A 2) 문자열 B 2. Output A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었을 때 1) B가 될 수 있다면 밀어야 하는 횟수 반환 2) B가 될 수 없다면 –1을 반환 3. Constraint 1) 0 Output: 1 Input: A=“hello”,B=“ehllo” -> Output: -1 5. Code 1) 첫 코드(2022/11/03) if(A.equals(B)) return 0; int answer = -1; for(int i=0 ; i
1. Input 1) 지뢰가 매설된 지역의 지도 board 2) board는 정수 2차원 배열 2. Output 1) 안전지대의 칸 수 2) 지뢰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대각선 4칸해서 최대 8칸이 위험지역(X표시) 3. Constraint 1) board는 n * n 배열 2) 1 ≤ n ≤ 100 3) 지뢰가 매설된 지역은 1로, 지뢰가 없으면 0을 표시 4) board에는 0 또는 1만 존재 4. Example Input: board= -> Output: 16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설명: 25칸 중 1칸에 지뢰, 8칸이 위험지역이므로 25-1-8=16칸이 안전..
1. Input 1) 머쓱이가 입력한 방향키의 문자열 배열 keyinput 2) 맵의 크기 정수 배열 board 2. Output 1) 키 입력이 모두 끝난 뒤에 캐릭터의 좌표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2) (0,0)은 board의 정 중앙이다. 예를 들어 board의 가로 크기가 9라면 왼쪽으로 최대 –4까지, 오른쪽으로 최대 +4까지 이동 가능하다. 3. Constraint 1) board은 {가로 크기, 세로 크기} 형태 2) board의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는 홀수 3) board의 크기를 벗어난 방향키 입력은 무시 4) 0 ≤ keyinput의 길이 ≤ 50 5) 1 ≤ board[0] ≤ 99 6) 1 ≤ board[1] ≤ 99 7) keyinput은 up, down, left, right로만..
1. Input 1) int 변수 num 2) 각 자리수를 계속 더해서 1자리수가 나올때 까지 반복 2. Output 1) 최종적으로 나온 1자리 정수 3. Constraint 1) 0 11 - 11 -> 1 + 1 -> 2 5. Code 1) 첫 코드(2022/07/06) if(num=10){ while(n>=1){ sum += n%10; n /=10; } if(sum>=10){ n = sum; sum = 0; } } return sum;
1. Input 1) "real+imaginaryi" 형태의 복소수를 담은 String 변수 num1, num2 2) real: [-100, 100] 범위 내의 정수. 복소수의 실수부 3) imaginary: [-100, 100] 범위 내의 정수. 복소수의 허수부 2. Output 1) num1과 num2의 곱의 결과를 담은 String 변수 2) i^2 == -1 3. Constraint 1) num1, num2는 유효한 복소수 4. Example Input: num1 = "1+-1i", num2 = "1+-1i" Output: "0+-2i" 설명: (1 - i) * (1 - i) = 1 - i - i + i^2 = -2i이므로 "0+-2i" 5. Code 1) 첫 코드(2022/08/23) i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