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two pointers
- Method
- Binary Tree
- dynamic programming
- Matrix
- array
- 구현
- Math
- Number Theory
- 코딩테스트
- Class
- greedy
- geometry
- Stack
- Data Structure
- Counting
- Tree
- 코테
- Binary Search
- SQL
- bit manipulation
- implement
- hash table
- sorting
- java
- 파이썬
- 자바
- database
- string
- simulation
Archives
- Today
- Total
코린이의 소소한 공부노트
작은 공간이지만 무한히 늘어날 지식 - 파이썬편 본문

1. del 키워드
이것을 이용해 변수를 삭제할 수 있다.
a = {1:'하나', 2:'둘', 3:'셋'}
c = 10
a[c] = '열' # c에 있는 10을 키로 이용
print(a)
>> {1: '하나', 2: '둘', 3: '셋', 10: '열'}
del c # 변수 c 삭제
print(c)
>> NameError: name 'c' is not defined
2. 마지막 줄의 출력 결과
파이썬의 마지막 줄이 결괏값이 있는 코드라면 결과가 출력이 되는데, 차이점이 있다.
a = '에이'
a
>> '에이'
print(a)
>> 에이
그냥 a만 쓰면 변수의 타입을 확인 후(문자열이군) 변수 선언할 때의 모양대로 출력해준다(문자열이니까 작은따옴표에 싸서 출력해야지). print함수를 쓰게 되면 변수 안에 들어있는 값(에이)을 출력해주기 때문에 문자열의 경우 작은따옴표 없이 출력된다.
3. 마침표 탭(. + tap) / 쉬프트 탭(shift + tap)
파이썬에서 코딩을 하다가 어떤 함수가 있는지 궁금하면 마침표를 찍고 탭키를 누르면 사용 가능한 함수들이 목록으로 쭈루룩 나온다. 그리고 함수를 쓰는데 어떤 파라미터(parameters)들이 들어가는지 잘 모르겠을때는 해당 함수에 커서를 놓고 쉬프트키와 탭키를 같이 눌러주면 된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 if (0) | 2021.05.18 |
---|---|
데이터 타입, 연산자 (4) 딕셔너리, 셋 (0) | 2021.05.14 |
데이터 타입, 연산자 (3) 리스트, 튜플 (0) | 2021.05.11 |
데이터 타입, 연산자 (2) 문자열형 (0) | 2021.05.07 |
데이터 타입, 연산자 (1) 숫자형, 논리형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