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rray
- 자바
- two pointers
- sorting
- Math
- Binary Search
- Counting
- SQL
- simulation
- Class
- Tree
- 코테
- bit manipulation
- geometry
- 파이썬
- greedy
- hash table
- Matrix
- 코딩테스트
- dynamic programming
- database
- Number Theory
- Data Structure
- Stack
- 구현
- implement
- Method
- java
- Binary Tree
- string
- Today
- Total
목록state (2)
코린이의 소소한 공부노트

[데몬 쓰레드] boolean isDaemon() // 쓰레드 그룹이 데몬 쓰레드 그룹이면 true를 반환한다. void setDaemon(boolean on) // 쓰레드를 데몬 쓰레드 또는 사용자 쓰레드로 변경한다. on을 true로 지정하면 데몬 쓰레드가 된다. // setDaemon()은 반드시 start()를 호출하기 전에 실행되어야 한다. // start() 후에는 데몬 쓰레드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 start() 전에 setDaemon()을 호출하면 IllegalThreadStateException이 발생한다. 1. 일반 쓰레드(non-daemon thread)의 작업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쓰레드 2. 일반 쓰레드가 모두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3. 가비지 컬렉터..

메서드 호출이 일어날 때 메모리 상황이 어떤지를 알려면, 스택이라는 것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스택 vs 큐] 1. 스택(stack): Last In First Out, 줄여서 리포 LIFO. 마지막에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온다는 뜻 = 후입 선출 - 컵과 같이 한쪽이 막혀 있고 다른 한쪽에 쌓아 올리는 것 - 주로 막힌 곳을 아래, 열린 곳을 위로 표현 - 스택에 추가를 할 경우 위로 쌓게 됨 - 스택에서 제거를 할 경우 위에서부터 제거가 됨 2. 큐(queue): First In First Out, 줄여서 피포 FIFO.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온다는 뜻 = 선입 선출 - 파이프처럼 양쪽이 뚫려 있는 형태 - 주로 들어가는 쪽을 뒤, 나오는 쪽을 앞으로 표현 - 큐에 추가를 할 경우 맨 뒤에 추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