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Math
- 구현
- greedy
- geometry
- SQL
- Counting
- Binary Tree
- two pointers
- Tree
- Method
- 자바
- sorting
- java
- database
- Binary Search
- 코테
- implement
- hash table
- Class
- 코딩테스트
- bit manipulation
- dynamic programming
- simulation
- array
- Number Theory
- Stack
- Matrix
- Data Structure
- string
- Today
- Total
목록Scope (2)
코린이의 소소한 공부노트

변수는 타입으로도 종류가 나눠지지만, 선언된 위치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뉜다. 아래 나온 코드가 이 글의 요약본이다. class Variables{ // 클래스 영역 시작 int iv; // 인스턴스 변수 static int cv; // 클래스 변수 void method() { // 메서드 영역 시작 int lv1; // 지역변수 }// 메서드 영역 끝 }// 클래스 영역 끝 코드에는 2가지 영역이 존재한다. 1. 클래스 영역 - 클래스의 이름으로 시작해 중괄호{ }로 감싸고 있는 영역 - 변수 생성 가능(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 필드/멤버 변수/전역 변수로도 불림 - 메서드 선언(메서드의 이름만 적는 것) 가능 - 메서드 정의(메서드 내부까지 구현한 것) 가능 - 변수/메서드 선언 시 선언문의..

수학에서 말하는 함수란 두 집합 X, Y가 있을 때, X의 한 원소가 Y의 한 원소에 대응될 때 그 관계를 말한다. 이와 비슷하게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란 주어진 입력(input)을 미리 지정해둔 방법으로 계산해서 출력(output)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봤던 함수들을 몇 가지만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다. 함수 입력 출력 함수 입력 출력 sum 숫자 컬렉션 모든 수의 합 len iterable 객체 객체의 길이 range 정수 정수 리스트 get key value list iterable 객체 리스트 등등.. 이렇게 이미 파이썬 내부에 구현되어있는 함수들을 내장함수(built-in function)라고 한다. a = [1, 2, 3, 4] print(len(a)) >> 4 print(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