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orting
- java
- two pointers
- Math
- Number Theory
- Counting
- simulation
- string
- geometry
- Class
- Matrix
- Tree
- array
- Binary Tree
- SQL
- 코테
- bit manipulation
- 자바
- 구현
- Stack
- Data Structure
- 파이썬
- Method
- Binary Search
- hash table
- 코딩테스트
- greedy
- dynamic programming
- implement
- database
- Today
- Total
코린이의 소소한 공부노트
인터넷 관련 개념/용어 간단하게 짚어보기 본문
[용어 정리]
1.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컴퓨터 간의 주고받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알맞은 크기로 나누어져 전송하고 이를 받아서 다시 원래의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약속해 놓은 것
-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인터넷 통신에 사용된다.
2. TCP
- 전송 제어 프로토콜
-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3. IP
- 인터넷 프로토콜
-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잘 도착하게 해 준다.
4. 이더넷 케이블(Ethernet Cable)
- 본래는 전화선으로 쓰이는 케이블을 뜻했는데, 현재는 근거리 통신망에 쓰이는 케이블을 뜻한다.
5. 하이퍼텍스트
- 연결되어 있지 않은 문서, 초월문서를 뜻한다.
- 예를 들어 '하나'에서 '둘'로 가려면 하나 -> ㅎ -> ㄷ -> 둘로 가야했는데, 지금은 하이퍼링크(링크가 담겨진 텍스트, 파란색 밑줄이 있다)만 누르면 중간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넘어갈 수 있다.
[인터넷의 작동 원리 요약]
1. 컴퓨터들이 서로 소통하게 하는 기술 또는 연결망을 나타내는 용어
2. 컴퓨터들이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네트워크
[인터넷의 작동 원리 자세히 알아보기]
1. 컴퓨터를 연결하기
- 이더넷 케이블로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블루투스/와이파이를 이용해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 컴퓨터 2대를 연결하려면 1개의 연결선과 그 연결선을 꽂을 플러그가 각 컴퓨터당 1개, 총 2개가 필요하다.
- 3대를 연결하려면 3개의 연결선과 6개의 플러그가 필요하다.
- n대를 연결하려면 nC2개의 연결선과 n(n-1)개의 플러그가 필요하다.
- 신호를 전달해 주는 장치인 라우터가 n대의 컴퓨터를 연결해 줄 수 있다면 n개의 연결선과 2n개의 플러그만 있으면 된다.
2. 연결 확장하기
- 연결할 컴퓨터의 개수가 늘어나면 라우터를 몇 대 더 연결하면 된다.
- 거리가 멀어지면 라우터 연결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정보전달이 어려워진다.
- 마침 전화선은 모두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정보를 전화선을 이용해 전달하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그래서 생긴 것이 모뎀이고, 몇몇의 라우터를 관리하고, 서로의 라우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 모뎀을 통해 고객들에게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인 SKT, KT, LGU+와 같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생겼다.
3. IP주소 할당받기
- 우리는 ISP에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IP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을 이용한다.
- IP주소는 인터넷에 접속할 때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를 말한다.
- IPv4의 경우 123.45.67.89처럼 0~255의 10진수 4개를 마침표(.)를 이용해 끊어서 표시하고, IPv6의 경우 0000~FFFF의 16진수 8개를 콜론(:)을 이용해 끊어서 표시한다.
- IP주소는 직관적이지 않아 외우기 힘들기 때문에 https://www.daum.net와 같은 도메인 주소를 사용한다.
[도메인 주소 뜯어보기]
1.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 서버)
- 인터넷계의 114와 같은 역할을 한다.
-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로 다른 컴퓨터에 접근(웹 페이지 로딩)을 시도했을 때,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작업을 해준다. 그 반대 작업도 도와준다.
- 도메인 주소에도 계층이 있다. 각 계층은 점(.)을 이용해서 구분짓는다. 예를 들어 https://muzimom0911.tistory.com이면 com이 1단계(최상위) 도메인, tistory가 2단계 도메인이 된다.
2. 호스트
- 위의 도메인 주에서는 muzimom0911이 호스트가 된다.
- 도메인 이름은 tistory.com, 호스트 이름은 muzimom0911이 되는데, 도메인 이름은 컴퓨터 그룹 이름(사람의 성)을 말하고, 호스트 이름을 컴퓨터 이름(사람의 이름)에 해당된다.
- 티스토리 사용자는 모두 같은 도메인 이름을 쓰지만, 호스트 이름이 각각 다르다.
- 다음의 첫 시작 도메인 주소는 www.daum.net지만, 메일 주소는 mail.daum.net이다. 이렇듯 같은 도메인 이름을 쓰면서 다른 일을 하는 웹페이지를 만들게 되면 호스트 이름만 달리해서 만들면 된다.
3. HTTP/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의 메시지 교환 규칙이다.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서버가 응답해 정보를 보내주고, 그것을 크롬과 같은 브라우저가 화면에 결과를 보여준다.
- HTTP에 보안을 강화한 것이 HTTPS이다.
[브라우저가 뭘까?]
1. HTML 문서와 그림, 멀티미디어 파일등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컨텐츠를 검색 및 열람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말이다.
2. 구글 크롬, 마소 엣지, 네이버 웨일, 애플 사파리 등이 있다.
3. 검색, 즐겨찾기 등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보기 편하게 띄워주는 역할을 한다.
4.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DNS에 도메인 주소를 보내고, IP주소를 받아 호스팅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호스팅은 뭐지?]
1. 호스팅(Hosting)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정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2.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구입하고 운영할 필요 없이 호스팅 업체가 미리 준비해 놓은 서버를 빌려 사용하는 형식이다.
3. 호스팅 서비스에는 웹 호스팅과 서버 호스팅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웹 호스팅이 아파트라면 서버 호스팅은 단독주택의 개념이다. 웹 호스팅은 여러 사용자의 페이지를 하나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서버 관리의 권한은 없다. 반면 서버 호스팅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버의 관리 권한은 갖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ORDER BY, LIMIT (0) | 2023.03.18 |
---|---|
[MySQL] 내가 겪은 오류 모음 (0) | 2023.03.16 |
[MySQL] SELECT, FROM, WHERE (0) | 2023.03.16 |
HTML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3.03.06 |
백엔드 로드맵 (0) | 2023.02.14 |